[창사(중국)=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앞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조회3회 작성일 25-05-20 13:02본문
[창사(중국)=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앞으로 미국과의 무역 관계가 좋아질 수 있겠지만, 이번 미중 관세갈등을 계기로 자체 기술 개발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절감했다. 현재 개발 중인 반도체 칩을 더 많은 로봇 제품에 적용하는 게 현재 목표다.” 지난 14일 중국 중부 후난성 창사시 줌라이언 공장 앞에 중장비들이 세워져있다. (사진=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미·중 관세 협상이 마무리된 직후인 지난 14일, 중국의 중부내륙에 위치한 ‘샹장(湘江)신개발구’의 중심지인 후난성 창사(長沙)시를 찾았다. 샹장신개발구는 우리나라의 국가산업단지와 비슷한 형태다. 이곳에서 만난 중국 최대 기계장비(농기계·건설기계) 개발업체인 줌라이언(중국명 중롄중커)의 류젠창 해외법인 총괄 매니저는 회사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기술의 자립화’를 꼽았다. 그는 “대외무역에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해외 기술에 기대기보단 첨단 장비와 부품을 직접 만들어 사용할 필요성을 실감했다”고 말했다.줌라이언은 최근 디지털·신에너지·신소재 등의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며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합한 휴머노이드 로봇도 차세대 사업으로 밀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중장비도 이러한 휴머노이드로봇으로 대체 가능할 것이란 판단이다. 이 회사뿐만이 아니다. 샹장신개발구에 있는 대다수의 기업들은 불안정한 무역 환경에서 자체 기술 개발과 수출 다변화를 추진 중이라고 한목소리로 답했다.의료기기(호흡기)를 미국과 유럽 등 125개국에 수출하고 있다는 후난비욘드(중국명 후난비양)의 영업 담당자는 “주로 미국과 거래를 해오다가, 미국 정부의 규제가 강해지면서 수십여개 국가로 수출 대상을 확대해왔다”면서 “올해도 유럽 등 다양한 국가와 수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미국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자, 중국이 자체 첨단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샹장신개발구뿐 아니라 전국 각 지역에 첨단기술 굴기를 앞세워 고부가가치 산업을 집중 육성 중이다. 샹장신개발구가 있는 후난성의 경우 기존 제조업과 디지털·과학기술·신에너지 등을 융합한 첨단 제조업을 신흥 중국 이커머스 징둥의 베이징 ‘아시아 1호’ 스마트 물류센터 내부. [사진 제공 = 징둥] 지난 15일 방문한 중국 베이징 남부 다싱구에 위치한 중국 이커머스 징둥의 ‘아시아 1호 스마트 물류센터’. 택배를 실어나르는 컨베이어 벨트는 쉴 새 없이 움직였고 자동화 설비 앞에서는 작업자들이 모니터를 보며 이상 유무를 체크했다. 다음달 중국 상반기 최대 쇼핑 행사인 ‘618(6월 18일)’을 앞두고 주문량이 몰리고 있는 것이다. 현장에서 만난 징둥 관계자는 “618이 시작되기 전부터 주문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이곳 물류센터에서만 작년 618 때 70만개 이상의 물량을 소화했는데, 올해는 이보다 더 많아질 전망”이라고 전했다. 618은 창립기념일에 맞춰 징둥이 진행하는 대규모 할인 행사로 매년 하반기에 열리는 알리바바의 ‘솽스이(광군제)’와 유사한 쇼핑 행사다.징둥의 무인운반차(AGV)인 ‘디랑(地狼·지상 늑대)’과 셔틀 등도 성수기를 맞아 덩달아 바빠지고 있다. 특히 로봇청소기를 연상하게 하는 외관으로 5층짜리 선반을 자유자재로 옮기는 디랑은 징둥이 다년간 경험을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운반 로봇이다. 징둥 관계자는 “물류 단계마다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한 덕분에 효율성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징둥이 올해 618 때 많은 주문을 예상하는 것은 중국의 내수 진작 및 소비 촉진 정책과 맞물려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올해 경제 정책의 핵심 과제로 ‘국내 수요 확대’를 선정했다. 지난 3월 열린 양회(兩會)에서는 정부 업무과제 1순위로 내수 진작을 꼽았다. 올해 들어 ‘이구환신’(노후 제품 교체 시 보조금 지급) 정책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소비 촉진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중국 이커머스 징둥의 베이징 ‘아시아 1호 ’ 스마트 물류센터 내부에서 로봇이 품목·지역별로 택배를 분류하고 있는 모습. 로봇은 외부에 직접 공개하지는 않았다. [사진 제공 = 징둥] 이는 미·중 무역전쟁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미·중 무역전쟁은 지난 12일 양측이 공동 성명을 통해 상호 관세율을 각각 115%포인트씩 인하하기로 합의한 뒤 휴전에 접어들었지만, 향후 90일간 예정된 추가 협상 과정에서 얼마든지 다시 격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좁